일본에서 고농도 세슘에 오염된 후쿠시마산 쇠고기가 현지서 전국적으로 유통된 것으로 전해져 충격을 주고 있다.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30km 안에 있는 미나미소마시의 한 축산농가가 육우용으로 출하한 소 11마리의 고기에서 육류의 잠정기준치(1kg당 500베크렐)를 넘는 1kg당 1천530~3천400베크렐의 세슘이 검출된 것이다.
이런 사실은 후쿠시마현이나 농림수산성이 아니라 도쿄도가 도축된 쇠고기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드러났다.
해당 쇠고기는 5개 도도부현의 도매업체에서 이미 판매된 것으로 조사됐으며 일부는 훗카이도, 도쿄, 가나가와, 지바, 시즈오카, 아이치, 오사카, 도쿠시마, 고치 등 9개 도도부현에서 소매점으로 유통이 완료 돼 사실상 일본 전역에 세슘에 오염된 쇠고기가 유통됐다.
한편 동일한 축산농가의 쇠고기에서 고농도 세슘이 검출된 원인은 소 사료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축산농가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사료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자 논에 쌓여있던 볏짚을 사료로 활용했던 것으로 밝혀졌으며 사료로 쓰인 볏짚에서는 기준치에 약 56배에 달하는 kg당 1만7045베크렐의 세슘이 검출됐다.
일본 정부와 지자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축산물과 수산물, 농산물 등에 대해 체계적인 방사성 물질 검사를 실시한 적이 없다. 고농도 세슘에 오염된 쇠고기가 유통되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커지자 후쿠시마현은 마지못해 검사를 한 뒤 미나미소마시 해당 축산농가에서 출하한 17마리 분량 쇠고기 외에는 문제가 없다고 국민들을 진정시켰다. 그러나 현지 언론은 일본 후생노동성이 현재까지 검사를 받은 해당 지역 소들이 모두 1만2,000여마리라고 밝혔다는 점으로 볼때 수출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고 경계했다.
또한 소비자단체도 정부의 식품 안전 통제력에 근본적인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소비자가 안심할 수 있도록 후쿠시마현 뿐 아니라 광범위한 지역에서 모든 소를 대상으로 내외부 피폭을 검사해 안전성을 확인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럿이 말하지 않는 사실 (0) | 2012.12.08 |
---|---|
총기사건 발생한 해병대 원사 숨진 채 발견 (0) | 2011.07.15 |
귀신버섯 발견[영국 귀신버섯 발견] '도깨비불' 야광버섯 (0) | 2011.07.12 |
“자살 해병대원 작업열외 당해” … 구타 흔적도 (0) | 2011.07.11 |
정재형 플레이어 등장에 고정요청 쇄도까지 '인기폭발' (0) | 2011.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