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TRI, SNS 개인정보 934만건 분석한 연구결과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트위터에서 이름과 학교 정보를 검색하는 것만으로도 이용자의 절반 정도를 특정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이버보안연구단은 13일 페이스북(657만개)과 트위터 (277만개) 등 SNS이용자 계정 934만개를 대상으로 개인정보 노출현황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이 페이스북 계정을 대상으로 주민등록번호 등 '식별정보'가 아닌 출신학교나 거주지 등 그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없는 '비식별정보'를 조합해 분석한 결과, 이름과 고등학교, 대학교 정보의 조합을 통해 이용자의 45%(297만명)를 특정할 수 있었다.
이름과 고등학교 조합으로는 34%(226만명)의 식별이 가능했다.
개인정보 노출 현황은 더 심각했다.
페이스북은 이름(100%), 성별(92%), 출신 고등학교(47%), 혈액형(40%), 관심사(19%), 좋아하는 음악(14%) 등의 순으로 개인 신상정보가 공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형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 목숨보다 비싼 외제차 수리비…최대 4억6천만원 (0) | 2013.10.13 |
---|---|
아모레퍼시픽 영업팀장, 대리점주에 폭언·대리점 포기 강요 (0) | 2013.10.13 |
"병사 한 끼 식비 2천144원…중학생의 절반 불과" (0) | 2013.10.13 |
수지 성준 열애설 부인 하면서 커플 반지 의혹에 대해서도 해명해! (0) | 2013.10.12 |
고령화의 그늘, 세대 갈등 (0) | 2013.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