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생(生)으로 가득한’ ‘직접 갈아’ ‘자연에서 갓 따온’….
국내 시판 중인 주스들이 내세우고 있는 수식어들이다. 이것만 보면 과일의 신선한 맛과 영양을 주스에서 얼마든지 섭취할 수 있을 것 같지만 현실은 다르다.
주스 포장 앞면에 나와있는 신선한 과일 사진과 ‘100%’ 등의 문구를 지나 제품 뒷면을 살펴보면 액상과당, 구연산, 합성착향료 등의 첨가물이 표시돼 있다. 100% 주스라는데 왜 첨가물이 들어가는 걸까. 답은 시판 주스 대부분은 과즙을 끓여 농축한 농축과즙에 물을 탄, 일명 ‘환원주스’이기 때문이다.
헤럴드경제가 시판 주스 34종을 조사한 결과, 첨가물 없이 과일이나 과즙만으로 만든 주스는 4개 회사의 9종뿐인 걸로 확인됐다. 풀무원의 ‘아임리얼’ 시리즈와 ‘CJ쁘띠첼 스퀴즈’ 시리즈, 헤럴드에코팜의 ‘저스트주스’ 시리즈, 웅진 ‘자연은 생으로 가득한 오렌지100’ 등이다.
이번 조사는 대형마트나 편의점 등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제품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풀무원의 ‘아임리얼’은 딸기, 키위 등 주재료인 과일을 갈아 만들었다. 여기에 당도를 맞추기 위해 배 등 다른 과일의 과즙만을 넣었다. ‘CJ쁘띠첼 스퀴즈 오렌지’는 오렌지를 그대로 짜서 만든 착즙주스다. 과즙 외에 별도의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았다. 초고압 기술을 이용, 균을 제어해 과일의 영양소도 최대로 살렸다. 최근 판매에 들어간 헤럴드에코팜의 ‘저스트 주스’ 역시 각종 과일을 레시피대로 갈아만들었고, 첨가물을 일절 넣지 않았다.
그러나 페트병에 담겨 상온에서 유통되는 ‘상온 유통 주스’들은 예외없이 농축과즙에 물을 부어 본래 농도를 맞춘 형태였다. 예컨대 원래 100㎖ 분량이었던 오렌지과즙을 끓여 30㎖까지 부피를 줄여 원료를 수입한 뒤 여기에 70㎖ 분량의 물을 부어 100㎖의 오렌지주스를 만드는 식이다.
과즙의 수분을 줄였다 다시 더한 셈이니 농도는 얼추 맞는다 해도, 이 대목에 뭔가 석연치 않은 구석이 있다.
바로 농축과즙, 정제수와 더불어 성분표시 한 켠을 빼곡히 채운 첨가물들이다. 환원주스로는 과즙을 바로 짜냈을 때의 신선한 풍미를 느낄 수 없다 보니 설탕이나 액상과당, 합성착향료 등의 첨가물을 넣어 맛을 내는 것이다.
상온 유통 주스보다 프리미엄급으로 통하는 ‘냉장 유통 주스’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대부분 농축과즙에 정제수를 넣어 만든 제품들이었다. 환원주스의 한계를 극복하려다 보니 액상과당, 합성착향료 등의 첨가물도 들어갔다.
심지어 과일을 그대로 갈아 만들었다는 생과일주스 중에서도 단맛을 강조하기 위해 농축과즙을 일부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농축 과즙에 물과 인공적인 첨가물까지 넣어 만든 주스도 ‘100% 오렌지주스’로 표기하는 데엔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상황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고시한 식품 등의 표시 기준에 따르면 “농축액을 희석해 원상태로 환원해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 환원된 표시 대상 원재료의 농도가 100% 이상이면 제품 내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돼 있다 하더라도 100% 표시를 할 수 있다”고 규정돼 있다. 이와 관련해 김영건 CJ제일제당 건강편의팀 부장은 “환원주스는 당도 등의 조건에서 원재료인 과즙만큼의 기준을 맞추면 100%라는 문구를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스에서 ‘100’이라는 문구는 ‘100%’보다 더 관대하게 쓰인다. 여러 과일이 아닌 한 과일의 농축 과즙만을 사용했다면 얼마든지 ‘100’이라는 말을 쓸 수 있다. 각종 첨가물을 이용해 새콤달콤한 과일의 맛을 인공적으로 복원했다 해도, 과일의 신선한 영양분까지 되살릴 수는 없는 법이다. 농축 과즙을 만드는 과정에서 가열처리를 하면 비타민C 등 과일의 영양소는 다소 파괴되기 마련이다.
이에 대해 김영건 부장은 “신선함을 살리기 위해 열 처리를 하지 않은 주스를 ‘비가열 주스’라고 하는데, 시판 제품 중에는 비가열 과즙이 일부 함유된 ‘비가열 함유 주스’도 있으니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위 기사에 나오는 대부분의 과일쥬스가 만들어지는 과정입니다.
1. 과일을 압착해서 과즙을 짭니다.
2. 위에서 만든 원액을 고온고압으로 팔팔 끓여서(대부분의 좋은 영양소 파괴) 부피를 30~50%로 줄인 농축과즙을 만듭니다.
3. 농축과즙을 수입해다 물을 타서 부피를 늘립니다. 헌데 이 상태에서는 농축과즙 특성상 신맛도, 단맛도 없고 비타민 C도 없습니다.
4. 그래서 신맛을 위해 구연산을 넣고, 단맛을 위해 설탕을 한사발 타고, 비타민 C 함유 표기를 위해 첨가물로 비타민C 를 넣습니다.
5. 이렇게 농축과즙 희석액에 화학첨가제를 다량 부어넣었지만
"농축액을 희석해 만들었어도 환원된 상태의 원재료 농도가 100% 이상이면 첨가물이 들어갔어도 100% 표시를 할 수 있다"
는 규정에 따라 100% 과일쥬스가 되는겁니다.
이렇게 제조과정의 특성상 원래 과일에 포함된 많은 영양소들이 파괴되고,
맛을 위해 각종 첨가물과 특히 다량의 설탕이 들어가기때문에
오히려 콜라보다도 당도가 높은 설탕물을 마시는 것과 다를바 없는 것이죠.
따라서 맛을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을 위해서 시중에 유통되는 과일쥬스를 마시는건 반대효과를 낳을 개연성이 크다는게 씁쓸한 유머네요.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snl 코리아 gta 조선 (0) | 2013.10.06 |
---|---|
snl 코리아 GTA 경성 (0) | 2013.10.06 |
무좀약이 에이즈 치료…또 '우연한 대박' (0) | 2013.09.30 |
퇴근길의 지하철,퇴근길의 보통 지하철,퇴근길의 흔한 지하철 (0) | 2013.08.06 |
유재석 "이적은 야한 농담 마니아, 김제동은 야동 마니아" (0) | 2013.08.06 |